처음으로    온라인문의    사이트맵
2023년 세종도서 교양...
2023년 문학나눔도서 ...
2023년 문학나눔도서 ...
한국미술론
지은이 : 윤범모
출판사 : 칼라박스
발행일 : 2017년 3월 31일
사양 : 576쪽 | 152*225 (양장)
ISBN : 979-11-960545-1-9 94600
분야 : 문화
정가 : 40,000
고대부터 근현대시기까지, 불교미술에서 채색화 분야까지, 
폭 넓은 시각으로서의 ‘한국미술론’

서양미술 범람시대에 우리 미술의 진면목과 만나고자 많은 세월을 보냈다. 비록 방황하는 세월이었지만 그래도 뭔가 고민의 흔적들은 쌓여갔다. 이에 그 방황의 산물을 한국미술론이라는 다소 거창한 제목 아래 모아 보았다. 그러니까 본서는 좌충우돌하면서 한국미술의 정체성을 탐구하고자한 편력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내용물이 허접하여 부끄럽기는 하지만, 대학 강단을 옮기면서 개인적 기념의 하나로 이 책을 묶는다.
그동안 저자는 우리 미술사학계 혹은 미술계에서의 관행에 합류할 수 없어 외로웠던 기억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장벽을 뛰어넘도록 스스로 채찍을 만들게도 했다. 여기서 문제의식은 구체적 사안에 대한 것도 있지만, 크게는 우리 미술문화를 바라보는 관점과도 연결되었다. 그래서 독창성은 물론 시대정신이나 민족의식과 같은 키워드를 소중하게 했다. 더불어 폭 넓은 시각으로서의 접근은 통섭이라는 용어까지 만나게 했다. 오늘의 우리 시대는 통섭의 시대임을 확인하게 한다. 통섭, 한마디로 넓게 보자는 이야기가 아닌가. 이러한 시각 아래 한국미술사 공부를 하고자 했다.
본서의 특징은 한국미론과 같은 원론에서부터 불교미술, 조선시대의 회화, 이른바 민화 관련 채색화 부분, 그리고 근대미술 분야까지 다양한 관심의 집적이라는 점이다. 이를 위해 한국미론 관련의 원론적 논고를 앞에 내세웠다. 그동안 선학들은 한국미의 특징에 대하여 많고도 많은 주장을 펼쳐 내놓았다. 저자의 시론(試論)은 무애미론(無碍美論)을 내세웠다. 무애라는 개념은 원효의 사상에서 따온 것이다. 저자는 원효를 존경하고 있는 바, 그의 철학을 빌려 온 것은 자연스럽다고 본다. 본서의 근현대미술 관련 논고의 비중은 크다. 저자의 전공분야와 관련된 자연스런 결과라 믿는다. 게다가 근대미술은 오늘날 우리 미술계 혹은 시각적 현실과 맞물리고 있는 부분이어서 생동감을 자아낼지 모르겠다. 흥미로운 쟁점 중심으로 몇 편의 논고를 모아보았다. 질곡 많았던 근대기의 미술, 거기서 새로운 담론을 추려낼 수 있다. 특히 서구중심주의에 빠져 있는 현대미술계에서 이 부분은 비중을 크게 둘 수밖에 없었다. - 머리말 중에서
윤범모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예술총감독
재단법인 가나문화재단 상임이사
사단법인 한국민화센터 이사장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졸업 문학박사
뉴욕대학교 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수학 
사우스 플로리다대학교 연구교수 
가천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등단 (1982)
호암갤러리(삼성미술관 리움 전신) 개관 팀장 
예술의 전당 미술관 개관 팀장 
고암미술연구소 소장 및 이응노미술관 개관 팀장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    
한국미술품감정가협회 회장 
동악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사단법인 한국큐레이터협회 회장 
광주비엔날레 특별프로젝트 책임 큐레이터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 운영위원장
경주솔거미술관 개관 총감독
박수근미술상 운영위원장
 
주요 저서
『한국현대미술 백년』(1985), 『미술과 함께, 사회와 함께』(1991), 『한국근대미술-시대정신과 정체성의 탐구』(2000), 『평양미술기행』(2000), 『화가 나혜석』(2005), 『우리 시대를 이끈 미술가 30인』(2005), 『한국미술에 삼가 고함』(2005), 『김복진 연구』(2010), 『토함산 석굴암』(시집, 2015) 외 다수 

E-mail: younbummo@hanmail.net
머리말

한국미론 재고
고유섭의 한국미론 다시 읽기
김용준의 조선미술론 고찰
고구려 고분벽화의 특성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 제도의 성립
시화일률과 현대미술
채색화의 복권과 회화사 연구의 반성
조선 후기의 책거리 문화, 다시 생각하기
민화라는 용어와 개념의 비판적 검토
한국불화의 독창성 문제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고찰
전통미술문화의 재료와 기법
근대기 사찰 봉안용 불화 혹은 정종여와 오지호의 경우
현대 불교미술과 창의성의 문제
불교미술의 획일화 현상과 짝퉁 불사(佛事) 문제
일제하 서양인 화가의 서울방문과 작가활동
한국근대미술과 정체성 문제
채용신의 초상화 제작활동과 근대성 문제
나혜석 미술세계의 연구 쟁점과 과제
반세기 동안의 망각, 김복진의 발자취를 찾아서
시인과 화가의 예술적 교감 혹은 백석과 정현웅의 경우
이인성과 이쾌대 혹은 식민지 현실과 상징성
조양규와 송영옥
도시문화의 해석과 미술
한국현대미술과 자생성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