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온라인문의    사이트맵
2023년 세종도서 교양...
2023년 문학나눔도서 ...
2023년 문학나눔도서 ...
미디어아트의 역사
엮은이 : 올리버 그라우(Oliver Grau)
옮긴이 : 주경란 외
출판사 : 칼라박스
발행일 : 2019년 12월 31일
사양 : 448쪽 | 190*245
ISBN : 979-11-960545-4-0-93600
분야 : 문화
정가 : 35,000원
디지털아트는 동시대 예술의 주요 형식이 되었지만, 여전히 주류 문화 제도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디지털 아트가 수집되는 경우는 드물며 미술사를 비롯해 여타 학문의 연구에 포함되는 일도 좀처럼 없다. 이에 선구적인 학자들은 미디어아트의 역사를 통해 이러한 상황의 타개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들은 한층 더 폭넓은 시야로 미디어아트를 조망하며 예술사의 맥락 안에서 디지털 아트를 살펴본다. 여기에 기고된 연구자들의 글은 오늘날의 미디어아트가 단순히 기술적인 세부 사항만으로는 온전히 이해될 수 없다는 점을 제시한다. 미디어아트는 역사를 살피지 않고는 이해될 수 없으며 인접한 다른 분야, 즉 영화, 문화 및 미디어 연구, 컴퓨터 과학, 철학, 이미지 과학과의 관계 속에서 통찰되어야 한다.
이 책의 필진은 13세기의 이슬람 기계 장치와 18세기의 판타스마고리아, 환등기 및 멀티미디어 환영부터 마르셀 뒤샹의 창안과 1960년대 키네틱 아트, 옵아트를 아우르며 디지털 아트의 발전과정을 추적한다. 이들은 기계, 미디어, 전시 등 핵심적인 미디어아트 이론의 용어를 다시 살피고 재정의하며, 예술품과 상품, 예술 이미지와 과학 이미지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고찰한다. 최종적으로 미디어아트의 역사는 예술사에 대한 숙련된 시각을 바탕으로 학제적, 확장적 이미지 과학을 위한 접근법을 제시한다.
 
올리버 그라우는 크렘스 도나우 대학의 이미지 과학 교수이자 문화연구학과의 학과장이다.
 
레오나르도 북A Leonardo Book
 
미디어아트의 역사에서 주목해야 할 전문가들의 중요한 글을 충실하게 담은 선집으로, 여기에 수록된 글은 이 새로운 학문의 내용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할 것이다.”
-찰리 기어Charlie Gere, 아트북The Art Book

엮은이

올리버 그라우 Oliver Grau
다뉴브 대학교(크렘스)Danube University Krems 문화연구학과 이미지학 교수이자 학장이며 독일과학재단 프로젝트 ‘Immersive Art’의 수장이다. 이 프로젝트 팀은 2000년 이래 국제 시각예술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고 있다. 그는 세계 각지에서 강연을 하고 다양한 수상 경력이 있으며 수 많은 글을 출간하고 있다. 최근 출판물로는 시각예술: 일루전에서 몰입까지Visual Art: From Illusion to Immersion(2003), 예술과 감정Art and Emotions(2005)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디어 아트의 역사, 몰입과 감정의 역사이며, 원격현전, 유전 관련 예술, 인공지능에 대한 역사, 아이디어,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과학아카데미의 젊은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반프Banff 2005‘Refresh!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istories of Media Art, Science, and Technology’ 의장이기도 하다.
http://www.mediaarthistory.org/http://www.virualart.at/ 참조
 
 
옮긴이

주경란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와 미국 보스턴대학교 예술행정학과에서 석사학위, 뉴욕 소더비에서 동시대 미술이론 전공으로 포스트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에서 자크 라캉의 대상a로서의 응시에 관한 연구(2016)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술잡지 가나아트기자, 우리미술연구소 학예실장을 역임했고, 중앙대학교와 동국대학교 대학원에 출강했다. 현재 가천대학교 객원교수이자 퓨즈아트프로젝트의 대표로, 매체 철학과 미디어아트에 관심을 두고 미디어아트 관련 출판물 시리즈와 아카데미,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뉴미디어 아트, 매체를 넘어서(칼라박스, 2018)가 있으며, Digital Performance(MIT출판사)를 공동 번역하고 있다.
 
주은정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다수의 갤러리와 비영리 문화공간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옮긴 책으로 다시, 그림이다: 데이비드 호크니와의 대화(디자인하우스, 2012), 내가, 그림이 되다: 루시안 프로이드의 초상화(디자인하우스, 2013), 나는 왜 정육점의 고기가 아닌가?: 프랜시스 베이컨과의 25년간의 인터뷰(디자인하우스, 2015), 뉴미디어 아트, 매체를 넘어서(칼라박스, 2018) 등이 있다.
  
안경화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월간미술, 아트선재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일하면서 추상미술, 공공미술, 미디어아트 등에 대한 논문 또는 글을 썼다. 현재 경기문화재단 정책실 수석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며 뮤지엄을 포함한 문화예술정책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와 뉴욕 바드칼리지 전시기획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학교 대학원 영상문화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부산비엔날레 커미셔너, 모스크바비엔날레와 류블랴나비엔날레의 특별전 등 다수의 전시를 기획했고, 비영리공간을 설립·운영하는 등 오랫동안 전시기획자로 활동했다. 2012년부터 싱가포르 정부가 기획한 길먼 배럭에서 스페이스 코튼시드Space Cottonseed를 수년간 운영하며, 싱가포르 오픈미디어 아트페스티벌을 설립했다. 옮긴 책으로 뉴미디어 아트, 매체를 넘어서(칼라박스, 2018)가 있다.
  
이정실
이화여자대학교 불문학과와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도미하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에서 로댕의 공공 조각와 가톨릭의 제식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메릴랜드대학교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지워싱턴대학교, 마이카미술대학에서 미술사 강의를 하고 있다. 19세기 프랑스 미술인 전공 외에도, 치유를 위한 공공조각, 페미니스트 운동과 이론, 20세기 이후의 미국 현대 미술, 미디어아트, 아시아 미술 등의 분야에 리서치 관심사로서 글을 썼거나, 독립 큐레이터로서 전시를 기획해 오고 있다
  
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초현실주의 미술에 나타난 초현실의 특성 연구(2017)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최근의 논저로 초현실주의의 현대적 신화에 나타난 공동체성; 193040년대를 중심으로(미술사학보, 2018), 1930년대 초현실주의 전시를 통해 본 초현실의 사회적 의미(미술사와 시각문화, 2017) 등이 있다. 예술의 가치를 사회화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학술 연구와 기획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독립 전시기획자로서 비영리 전시공간 브레인팩토리의 운영과 전시 기획을 담당했고, 인사미술공간의 협력 큐레이터로 신진 작가를 위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했으며, 한국현대미술 디지털 아카이브(akive.org)의 프로젝트 디렉터를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황유진
이화여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 및 뉴욕시립대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뉴욕한국문화원 큐레이터로 재직하면서(20052009) Faces and Facts, Contemporary Korean Art in New York50여 건의 전시를 기획·진행했다. 공동번역서로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눈빛, 1999), 에세이로 Uptown, Uptown: Mapping Manhattan(Jihyun Park; Uptown, Uptown, Art in General New Commissions Program Book Series, 2008) 등이 있다.
  
유승민
이화여자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사무소(SAMUSO)에서 전시실장으로 일했다.
  
김미라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영상예술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회 미디어시티서울 코디네이터, 가나아트센터 수석큐레이터 및 디렉터를 역임했으며, 현재 아이안 아트컨설팅 대표로 아이안 뉴미디어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미디어캔버스 서울스퀘어 프로젝트를 총괄 기획했고, 서울시와 경기도 등 다양한 지자체의 도시빛정책과 공공디자인을 심의하고 있다. 과학과 예술의 융복합에 관심이 많아 다수의 전시를 기획했으며, 현재 문화관광부의 문화예술위원회와 과학기술정통부의 ICT문화융합프로젝트에 자문하고 있다. 공저에 Ten years after: 과학+예술 10년후(다빈치, 2003), 기획 및 집필 참여에 MEDIA SKIN(도트폼, 2010) 등이 있다.
  
이나리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호암갤러리의 다수 전시 도슨트와 한국미술연구소 콘텐츠 번역팀, 한국국제아트페어 어시스턴트 등의 일을 했으며, 한성대학교 회화과, 용인대학교 서양화과 강사로 활동했다.
고동연
전후 미술사와 영화이론으로 뉴욕시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아트2021의 공동디렉터(20082010), 신도 작가지원프로그램(시냅, 20112014) 및 국내 유수의 창작센터, 작가상의 멘토와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동아시아 현대미술에서의 대중소비문화나 역사적 기억과 관련된 주제로 국내 등재학술지와 국제 유명학술지 Inter-Asia Cultural Studies(런던, 2010, 2013), Photography and Culture(런던, 2015) 등에 발표해 왔다. 최근 발간된 저서로는 Staying Alive: 우리시대 큐레이터들의 생존기(2016), 소프트파워에서 굿즈까지: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 현대미술(2018)이 있으며, 현재 Postmemory Generation and the Korean War: Post-1990s South Korean Arts(2020 예정)을 집필하고 있다.
  
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학사,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와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대미술의 역사와 미술관의 역할에 관심을 두고 주로 전시기획, 비평, 강의, 번역, 미술교육, 미술정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관으로 세자르전, 볼탕스키전, 아네트 메사제전, 레스 &모어전등 다양한 국제미술전시와 근대를 묻다전, 젊은 모색전, 현대차시리즈전, 한국현대판화 50년전, 한국현대미술작가전등 다양한 전시회를 기획했다.
  
송연승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문화 예술 분야 및 어린이 책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전시의 담론·페미니즘과 미술(이상 눈빛)의 공동 번역에 참여했고 뉴욕에서 꼭 봐야 할 100점의 명화(마로니에북스), 10대에 뮤지션이 되고 싶은 나, 어떻게 할까?·10대에 댄서가 되고 싶은 나, 어떻게 할까?(이상 초록개구리)를 우리말로 옮겼다.
 

머리말
감사의 글
 
1. 서론 | 올리버 그라우
2. 이미지의 변화 | 루돌프 아른하임
 
기원 : 진화 대 혁명
 
3. 만지지 않는 것이 금지되었다: 상호작용성과 가상성의 역사(에서 망각된 부분들)에 대한 언급 | 페터 바이벨
4. 예술과 기술의 역사화: 방법의 구축과 규범의 작동 | 에드워드 A. 쉔켄
5. 쌍방향-접촉-실험-회귀: 예술, 상호작용성, 촉각성에 대한 미디어 고고학적 접근 | 에르키 후타모
6. 뒤샹: 인터페이스: 튜링: 독신남 기계와 범용 기계 | 디터 다니엘스
7. 판타스마고리아를 기억하시오! 18세기 환영의 정치와 멀티미디어 작업의 미래 | 올리버 그라우
8. 이슬람의 자동화: 알 자자리의 독창적인 기계 장치에 대한 지식을 담은 책(1206)읽기 | 구나란 나다라잔
 
기계-미디어-전시
 
9. 구상 기법의 자동화: 자율적 이미지를 향하여 | 에드몽 쿠쇼
10. 이미지, 프로세스, 퍼포먼스, 기계: 기계적인 것의 미학적 측면들 | 안드레아스 브뢰크만
11. 필름에서 인터랙티브 아트까지: 미디어아트의 변모 | 리샤르트 W. 클루슈친스키
12. ‘물질에서 인터페이스로의 통로 | 루이즈 푸아상
13. 비물질성의 신화: 뉴미디어의 전시와 보존 | 크리스티안 폴
 
팝과 과학의 만남
 
14. 디바이스 아트: 일본 동시대 미디어아트를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방법 | 구사하라 마치코
15. 프로젝팅 마인드 | 론 버넷
16. 추상성과 복잡성 | 레프 마노비치
17. 뉴미디어 탐구 | 티모시 르누아르
 
이미지 사이언스
 
18. 이미지, 의미, 그리고 발견 | 펠리스 프랭켈
19. 시각 미디어는 없다 | W.J.T. 미첼
20. 투사: 사라지기와 되기 | 션 커빗
21. 음악가와 시인 사이에서: 초기 컴퓨터 아트의 생산적 제약 | 더글러스 칸
22. 불확실성의 형상화: 표상에서 심적 표상까지 | 바버라 마리아 스태퍼드
 
옮긴이의 글
옮긴이 소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