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온라인문의    사이트맵
2023년 세종도서 교양...
2023년 문학나눔도서 ...
2023년 문학나눔도서 ...
감나무 맹자 (황금알 시인선 118)
지은이 : 이월춘
출판사 : 황금알
발행일 : 2015년 12월 24일
사양 : 120쪽 | 128*210
ISBN : 979-11-86547-19-9-03810
분야 : 황금알 시인선
정가 : 9,000원
이월춘 시인의 이번 시집은 진정성의 보고다. 고통과 즐거움을 건너 얻은 삶의 통찰이기도 하다. 그를 생각하면 늘 79년 그때로 돌아간다. 뿔뿔이 흩어져 서로에게 손편지나 쓰던 그해 가을을 생각한다. 마산 美다방에서 3인시화전을 하고, 이듬해 다시 4인 시화전을 하면서 뭐가 됐든 함께해 보자고 ‘살어리 동인’을 결의하던 그 날을. 철없던 시절의 첫 시집 『칠판지우개를 들고』에서부터 이번 시집 『감나무 맹자』에 이르기까지 40년 가까운 시간의 파노라마를 읽는다. 이 시집에선 하염없이 앓고 지는 꽃술의 노래가 들린다. 지천명을 지나 이순의 시간을 걸어온 길도 보인다. 시의 이랑을 걷다 보면 ‘언어의 대팻밥’처럼 섬세한 숨결을 듣기도 하고 ‘성냥 한 알로 꽃들의 신음을 다독이는 연등(燃燈)’을 만나기도 한다. 온전한 시 한 편을 위해 ‘깎고 들어내고 떼어내’는 과정이 독자를 돌아보게 한다. 장복산을 향한 불문곡직 오체투지의 시업(詩業)에 박수로 힘을 보태고 싶다. 
- 이달균(시인)

등단 30년에 이른 이월춘 시인의 詩에는 “내 아득바득 붙잡고 건너온 것이/잎 다 진 버드나무 가지 하나였다”(「강가 늙은 버드나무」)는 삶의 혜안이 번뜩인다. “삶은 어차피 윤사월 간이역 철로 같은 것”(「월인천강」)이라며 쓸쓸함에 젖기도 하지만, 세상의 모서리를 지우며 작고 못난 것들을 만나 위무하고 위로한다. 이런 지혜들을 때로는 자문(自問)하고 때로는 자답(自答) 하며 “다문다문 마음속의 길들”(「돌아다니는 말들」)을 낸다. 세상은 “뿌리 깊은 이해타산(利害打算)”으로 복닥거리는 세계이니, 사람 사는 곳에는 “혼자 울고 싶은 사내들이 저렇게 많다”(「단풍」)는 사실을 이야기하며 자신의 마음 한 자락도 슬쩍 풀어 놓는다. 세상의 사람들은 돋보이는 밝은 빛의 세계만을 지향하지만, 그 스스로는 “그늘의 힘”을 믿으며 묵묵히 걸어왔다. 그 길이 “맑은 이치”를 가르치는 선생 30년의 길과 닿아있다. 참으로 막막하고 참으로 긴 여정이다. 이월춘 시인의 이런 여정에 내 마음 한 자락도 슬쩍 얹어본다.
- 성선경(시인)

이월춘의 이번 시집에 나타난 시적 지향은 참으로 심원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일상 속에 성이 깃들여 있음을 저와 같은 근원적이고 신비한 마음의 상태로 풀어냄으로써 우리 시대의 구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즉 그늘의 마음이라는 것이 결국 혼을 구원하기 위한 점이라는 것을 긍정한다면 시인은 오늘의 물질화되고 타락해버린 우리들의 혼을 구원하기 위해 정신의 엄정과 일상의 성화를 통해 진정한 생명적 가치와 삶의 의미가 어디에 있는가를 알려준 것이라 할 수 있다.                                                 
- 김경복(문학평론가·경남대 교수)
이월춘

1957년 경남 창원 대산에서 태어나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86년 무크 『지평』과 시집 『칠판지우개를 들고』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칠판지우개를 들고』 『동짓달 미나리』 『추억의 본질』 『그늘의 힘』 『산과 물의 발자국』 등이 있고, 저서 『모산만필』, 편저 『벚꽃 피는 마을』 『서양화가 유택렬과 흑백다방』, 공저 『비 내리고 바람 불더니』 등이 있다. 현재 『계간진해』 편집인, 계간 『시의 나라』 편집위원이며, 경남시인협회 부회장, 경남문협, 경남작가회의, 경남문학관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경남 우수작품집상, 김달진문학제 제1회 월하진해문학상, 제23회 경남문학상, 진해예술인상을 수상했다. 진해남중과 진해중앙고 교사를 거쳐 진해남중학교 교감으로 근무하고 있다. 

1부  공존의 그늘

고도·12
틈·13
케 세라 세라·14
돌·15
은장도·16
대팻밥·17
연두의 형식·18
춘서春序·19
선비꽃·20
공존의 그늘·21
물메기 덕장·22
천원숍 불빛 아래·23
비닐봉지에 묻다·24
잡것들·25
횡안橫眼·26
세고비아 기타·27
정의에 대하여·28
모산선생사史·29

2부  감나무 맹자
  
벌초·32
가을 소묘·33
감나무 맹자·34
강가 늙은 버드나무·35
돌아다니는 말들·36
반추反芻·37
봄의 새끼손가락·38
적조赤潮·39
지음知音·40
열대우림을 꿈꾸다·41
가시·42
단풍·43
삼봉산 달빛에 묻다·44
칠불사 배롱나무·45
배꽃 필 무렵·46
죽추竹秋·47
학자수學者樹·48
동백다방·49

3부  물굽이에 차를 세우고

낙동강 물끝·52
낙동리 강물·53
남강유등·54
작달비·55
물굽이에 차를 세우고·56
어머니의 안개치마·58
사모곡·강물·60
보리누름에 웅어회·61
풍경소리·62
추분호박·63
바위취·64
묵뫼 할미꽃·65
삶의 물기·66
꽃몸살·67
가을의 눈동자·68
가을일기·69
점선의 꿈·70
태풍전야·71

4부  숟가락의 무게     
  
밥과 법·74
숟가락의 무게·75
고인돌의 말·76
진해덕전어鎭海德錢魚·78
국수 한 그릇·79
들쭉술·80
사소함에 대하여·81
낮술·82
낮달·83
디지털 치매·84
물안개의 자초지종·85
섬진강곡蟾津江曲·86
이면도로·87
자벌레 인생·88
혜자의 눈꽃·89
액자 얼룩·90
묵상보살?想菩薩·91
동지섣달·92

■ 해설 | 김경복
천지를 품고 기르는 ‘그늘의 마음’·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