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제1부 군사사상 기초이론
제1장 군사사상을 접할 때 느끼는 몇몇 문제들
제1절 군사사상? 1. 선글라스 낀 쇼군(Show軍) vs 호두군(Walnut軍) 2. ‘사상’ ‘생각(사고)’ ‘철학’의 구분 3. 지금까지 일반화된 군사사상의 정의 및 관련 분야는? 4. 군사사상에서 전쟁 이외의 분야를 꼭 다루어야 하나? 5. 군사사상도 사상(思想)인가? 6. ‘군사사상’인가? ‘전략사상’인가? 7. 군사사상이 계층적인가? 수평적인가?
제2절 군사사상 연구는? 1. 군사사상 연구가 필요한가? 2. 이론연구는 얼마나 이루어졌나?
제2장 군사사상의 정의와 특성 및 역할
제1절 군사사상의 정의 1. 군사사상의 정의 2. 군사사상에 대한 기존 정의와 새로운 정의 비교
제2절 군사사상의 특성 1. 사상의 한 분야로서의 특성 2. 군사사상만이 갖는 특성
제3절 군사사상의 역할 1. 군사사상의 역할에 대한 접근방법 2. 군사사상의 역할 구분
제3장 군사사상의 범주
제1절 군사사상의 범주에 대한 이해 1. 기존 군사사상의 범주 2. 새로운 군사사상의 범주
제2절 범주Ⅰ: 전쟁에 대한 인식과 이해 1. 기본적인 접근 방향 2. 전쟁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분야별 세부 내용 3. 전쟁에 대한 인식과 이해 관련 군사사상적 함의(含意)
제3절 범주Ⅱ: 전쟁에 대비한 군사력건설[養兵] 1. 기본적인 접근 방향 2. 양병 분야별 세부 내용 3. 양병과 관련한 군사사상적 함의 제4절 범주Ⅲ: 전시에 군사력으로 전쟁수행[戰時用兵] 1. 기본적인 접근 방향 2. 전시 용병 분야별 세부 내용 3. 전시 용병과 관련한 군사사상적 함의
제5절 범주Ⅳ: 평시 국가안보 지원 1. 기본적인 접근 방향 2. 평시 국가안보 지원 분야별 세부 내용 3. 평시 국가안보 지원과 관련한 군사사상적 함의
제6절 범주Ⅴ: 평시 국가정책 지원 수단으로서 군사력 운용 1. 기본적인 접근 방향 2. 평시 국가정책 지원 수단 분야별 세부 내용 3. 평시 국가정책 지원 수단으로서의 군사력운용과 관련한 군사사상적 함의
제7절 범주Ⅵ: 평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군사력 관리 및 군 운영(運營) 1. 기본적인 접근 방향 2. 평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군사력 관리 및 군 운영 분야별 세부 내용 3. 평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군사력 관리 및 운영과 관련한 군사사상적 함의 제2부 군사사상 분석 및 정립이론
제1장 군사사상 분석방법
제1절 군사사상 분석의 의미와 목적 1. 군사사상 분석의 의미 2. 군사사상을 분석하는 목적
제2절 군사사상 분석방법 및 절차 1. 분석방법 2. 분석절차 3. 군사사상 분석 시 오류와 유의 사항
제2장 군사사상 정립(定立)방법
제1절 군사사상 정립의 의미와 목적 1. 군사사상 정립의 의미 2. 군사사상을 정립하는 목적 3. 군사사상의 역할과 정립목적 구분
제2절 군사사상 정립절차 1. 정립절차 단계 2. 단계별 세부 수행방안 3. 군사사상 정립 시 오류와 유의 사항
제3절 군사사상 정립 시 영향요소 1. 영향요소Ⅰ: 군사 및 비군사적 안보위협 2. 영향요소 Ⅱ: 군에 대한 국민과 정치의 요구 3. 영향요소Ⅲ: 전통 군사사상 및 역사 4. 영향요소Ⅳ: 외국의 군사사상 5. 영향요소Ⅴ: 지정학적 요인 6. 영향요소Ⅵ: 경제력, 산업기술 및 생산능력 7. 영향요소 Ⅶ: 기타 시대적인 요구사항
제4절 군사사상 범주와 군사사상 정립 영향요소의 관계 1.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2.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제3부 손자의 군사사상 분석방법 예시
제1장 손자의 군사사상에 대한 기존 분석
제1절 손자의 군사사상 분석에 앞서
제2절 기존 분석결과 개관
제3절 기존 분석 내용의 한계 1. 일관성 측면 2. 한정성(限定性) 측면
제2장 손자의 군사사상에 대한 새로운 분석
제1절 전쟁에 대한 인식 및 이해 1. 전쟁에 대한 정의 및 수행 신념 측면 2. 전쟁의 원인에 대한 인식 및 이해 측면 3. 소결론
제2절 전쟁에 대비한 군사력건설[養兵] 1. 전쟁수행능력 및 억지력 확보 2. 군사대비태세 유지 3. 소결론
제3절 전시 군사력으로 전쟁수행[戰時用兵] 1. 전쟁을 억제하기 위한 용병 2. 전쟁수행을 위한 용병 3. 소결론
제4절 평시 국가안보 지원 1. 외교 및 군사 교류 2. 전쟁억제 3. 적대 국가(敵對國家) 연구 4. 국지도발 대응 5. 소결론
제5절 평시 국가정책 지원 수단으로써 군사력 운용
제6절 평시 군사력 관리 및 운영 1. 국방경영 2. 군사법(軍事法)과 군령(軍令) 3. 기상 및 군사지리 4. 소결론
제7절 대표적인 손자의 군사사상 설정 1. 범주별 분석결과 핵심요약 2. 손자의 대표 군사사상 에필로그 참고 문헌 용어 정리
|